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정보

서울 한남3구역 재개발: 미니 신도시급 5,988가구 대단지로 변신

by 재테랑 2024. 12. 24.
반응형

'서울 한남3구역 재개발: 미니 신도시급 5,988가구 대단지로 변신' 섬네일

서론 

한남3구역 조감도 /출처: 서울시

 

서울 용산구 한남동 일대의 노후 주택 밀집 지역이한남3구역 재개발을 통해 미니 신도시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로 거듭납니다.

전체 면적만 38 6,364㎡에 달하며, 5,988가구(공공주택 1,100세대 포함)가 들어서는 서울 최대 규모의 재개발 사업입니다.

남산과 한강을 함께 품고 있다는 입지적 장점을 활용해, 주거 편의와 경관을 모두 살린 새로운 도시 생활 공간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본론

 

1. 한남3구역 재개발 특징

한남3구역 위치도 /출처: 서울시

항목 내용
위치 한남동 686번지 일대
면적 38만6364㎡
세대수 5988세대 (공공주택 1100세대 포함)
높이 지하 7층 ~ 지상 22층 (127개 동)
녹지 공간 축구장 2.5배 규모의 공원 분산 배치
주거 비율 (준주거) 77% → 90%
주차장 대규모 입체 주차장 2개소
착공 목표 2026년

 

1) 대규모 단지 조성

면적 38 6,364㎡ 부지에 127개 동, 5,988세대가 들어설 예정입니다.

특히 공공주택 1,100세대를 포함해 다양한 주거 계층이 함께 어우러지는소셜믹스방식이 주목할 만합니다.


2) 용도지역 상향과 주거공간 확대

한남3구역 조감도 /출처: 서울시

기존 제1·2종 일반주거지역이 제2·3종 일반주거지역 및 준주거지역으로 바뀌며, 공동주택 용지는 287,096㎡에서 293,577㎡로 늘어납니다.

준주거지역의 주거 비율도 77%에서 90%로 올라가, 더 많은 일반 분양 세대를 공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녹지·커뮤니티 공간과 공공성 극대화

1) 축구장 2.5배 규모의 녹지

한남3구역 조감도 /출처: 서울시

 

공원, 녹지 공간을 다수 마련하여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할 예정입니다.

 

이 공간들은 지역 주민과 공유할 수 있는 열린 커뮤니티로 설계되어, 주거 편의와 함께 도시 생태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2) 공공주택 및 대규모 주차장 

공공주택(1,100세대) 도입으로 다양한 계층의 주거 안정을 도모합니다.

이와 함께 이태원 상권 인근 주차난을 완화하기 위해 대규모 주차장 2곳을 추가로 확보해 지역 생활 편의를 향상시킬 계획입니다.


3. 건축 설계와 교통 인프라 강화

한남3구역 조감도 /출처: 서울시

1) 남산·한강을 함께 즐기는 조망권

고도 제한 및 경관 관리 기준을 철저히 준수해 남산과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스카이라인을 구성합니다.

이는 한남동 고유의 경관 가치를 극대화해 단지 전체의 가치 상승을 유도할 예정입니다.

2) 교통 접근성 개선

도로 재배치 및 확장을 통해 교통 혼잡을 줄이고 인근 주요 간선 도로와의 연계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2026년 착공을 목표로 이주율은 이미 96% 이상 진행되어, 순조로운 공사 진행이 예상됩니다.


결론 


한남3구역 재개발 사업은 단순한 아파트 건설을 넘어, 서울 중심부에 새로운미니 신도시를 조성하는 종합 도시개발 프로젝트입니다.

남산과 한강이 어우러진 우수한 입지, 대규모 녹지와 공공시설, 교통 인프라 개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부동산 가치 상승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입니다.

히 다양한 계층이 함께 거주할 수 있는 소셜믹스 기획은 앞으로 도시재생과 재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본보기가 될 것입니다.

 

이상 재테크 전문가 '재테랑'이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