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전략

국내 S&P 500 ETF 비교 분석ㅣISA 계좌 및 연금저축펀드에 적합한 상품 추천 가이드

by 재테랑 2024. 2. 12.
728x90
반응형

 

서론

ISA 계좌연금저축펀드로 투자하기 좋은 상품 추천의 첫 번째 시리즈,

해외 대표 지수, 국내에 상장된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앞전에 ISA 계좌를 2024년도 개편에 맞춰 소개해 드렸습니다.

ISA 계좌의 장점은 비과세, 분리과세 등으로 직접 투자하기 가장 좋은 수단이라고 말씀드렸죠.

 

특히나 ETF에서 발생한 배당소득의 경우, ISA에서는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연금저축펀드의 경우에는 납입 금액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도 언급드렸습니다.

 

본 게시글은 2024년 2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론

1. 증권사의 중개형 ISA연금저축펀드 선택

ETF를 추천드리기 앞서, ISA는 '증권사'에서 꼭 '중개형'으로 가입하셔야 합니다.

'중개형 ISA'는 증권사에서만 개설할 수 있고, 펀드, 주가 연계증권(ELS), 주가 연계 파생 결합사채(ELB), 상장지수펀드(ETF), 상장 지수증권(ETN), 환매조건부채권(RP), 예금, 리츠 상품 등에 직접 투자 가능한 계좌입니다.

국내에 상장된 주식 또는 ETF거래하려면, MTS/HTS(주식 거래래 프로그램)를 통해 직접 거래하시면 됩니다.

MTS(Mobile Trading System): 모바일(핸드폰)로 거래 가능한 프로그램 / 주식 애플리케이션
HTS(Home Trading System): PC(컴퓨터)로 거래 가능한 프로그램

 

2. S&P 500이란?

S&P 500 지수 주가 차트 사진 / 출처: 구글

S&P 500 지수는 미국의 주요 신용평가기관인 S&P Global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발표하는 주가 지수 중 하나로, 미국에 상장된 주식 중에서 시가 총액이 가장 큰 상위 500개 기업의 주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를 한국의 시장에 비유하자면, 'KOSPI(코스피) 200' 지수와 유사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P 500은 미국의 3대 증권 시장 지수 중 하나로, 미국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시가총액식 주가지수는 전종목을 대상으로 지수를 산출하기 때문에, 시장 전체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S&P 500 투자 시 이점?

 

사진: 워런 버핏

 

내가 죽으면 재산의 90%는 S&P 500 인덱스펀드에, 나머지 10%는 미국 국채에 투자하라.

-워런 버핏

윗 말은 투자의 대가로 불리는 워런 버핏이 2013년에 아내에게 남긴 유언 중 일부입니다.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한 지수였지만, 이 말을 통해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워런 버핏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자신의 재산의 90%를 이 지수에 투자하라고 했던 것 같습니다.

1) 수익률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연평균 수익률이 10% 이상입니다.

안정적인 수익률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이죠.

2) 주가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주가는 상장 이후 꾸준히 우상향 하고 있습니다.

이 점만으로도 투자를 망설일 이유는 없죠.

3) 지속적인 리밸런싱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신용평가기관인 S&P Global이 주도하여 정기적으로 리밸런싱을 진행합니다.

즉, 투자자가 별도의 노력 없이도 투자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4) 배당과 주가가 꾸준히 성장하는 ETF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배당성장주의 대표주인 'SCHD'에 비할바는 아니지만, 매년 연 배당률이 1.3% 이상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가 역시 안정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투자자의 수익률을 높여줍니다.

개별 주식을 직접 분석하고 투자하는 것이 번거롭다면,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투자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기업에 대한 분석 없이도, 미국 주식 시장의 평균 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4. 구성 종목 및 섹터별 내역

S&P 500 구성 종목 사진

 

S&P 500을 구성하는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 아마존, 메타, 구글 등 대표적인 빅 테크 기업이 있습니다.

S&P 500 섹터별 내역 사진

빅테크와 같은 기술주 뿐만 아니라, 금융주, 보건 의료주, 소비재주, 산업재주 등 다양한 섹터가 지수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기술주가 대부분인 나스닥에 비해 한 바구니에 많은 계란을 나눠 담는 효과를 가져와 주가가 좀 더 안정적입니다.

 

5. 국내에 상장된 S&P 500 지수 추종 ETF 추천

ISA 계좌를 보유한 분들은 해외 직접 투자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간접적인 투자법을 쓰셔야 합니다.

 

바로 국내에 상장된 S&P 500 지수 추종 ETF를 매수하는 것입니다.

 

해외에 상장된 S&P 500 ETF가 궁금하시다면 ▼

 

(2024년 02월 기준)

 

추종 ETF
코드명
수수료
(기타 비용 포함)
괴리율
60일 거래량
자산규모
(원)
배당일
배당 수익률
(1년 기준)
TIGER
미국 S&P 500
360750
0.173%
0.01%
80.23만 주
2조 3,322억
1년 4회
1월, 4월, 7월, 10월
1.20%
(200원)
KBSTAR
미국 S&P 500
379780
0.120%
0.02%
8.41만 주
2,570억
1년 5회
1월, 4월, 7월, 10월 12월
1.50%
(212원)
ACE
미국 S&P 500
360200
0.159%
0.00%
18.14만 주
7,262억
1년 4회
1월, 4월, 7월, 10월
1.30%
(210원)
SOL
미국 S&P 500
433330
0.192%
-0.06%
1.95만 주
663억
월배당
1.10%
(159원)

(표가 잘 안보이신다면 아래 표 사진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국내에 상장된 S&P 500 지수 추종 ETF 비교표표
위의 표를 통해 보시면 아시다시피 4가지로 분류됩니다.


*TIGER 미국 S&P 500
*KBSTAR 미국 S&P 500
*ACE 미국 S&P 500
*SOL 미국 S&P 500

실제로는 더 많은 종류가 존재하지만, 거래량, 수수료, 자산 규모 등을 고려하여 위의 4가지로 필터링하였습니다.

각 항목별로 가장 저렴한 1위와 2위를 소개하고, 마지막에 가장 추천하는 ETF를 소개하겠습니다.


1) 수수료 비교


1위는 'KBSTAR 미국 S&P 500'로 수수료  0.12% 입니다.
2위는 'ACE 미국 S&P 500'로 수수료  0.159%입니다.

2) 괴리율 비교

1위는 'ACE 미국 S&P 500'로 괴리율 0.00%입니다.
2위는 'TIGER 미국 S&P 500'로 괴리율  0.01%입니다.

3) 거래량 비교

1위는 'TIGER 미국 S&P 500'로 거래량 80.23만 주입니다.
2위는 'ACE 미국 S&P 500'이며, 거래량 18.14만 주입니다.

4) 자산규모 비교

1위는 'TIGER 미국 S&P 500'로 자산규모 2조 3,322억입니다.
2위는 'ACE 미국 S&P 500'로 자산규모  7,262억입니다.

5) 배당일 비교

1위는 'SOL 미국 S&P 500'로 월마다 배당금을 줍니다.
2위는 'KBSTAR 미국 S&P 500'연 5회 배당금을 줍니다.

 

6) 배당률 비교

1위는 'KBSTAR 미국 S&P 500'로  1.50%의 배당률입니다.
2위는 'ACE 미국 S&P 500'1.50%의 배당률입니다.


6. 가장 추천하는 국내 상장 S&P 500 ETF? 

 

각 항목별로 1위에게는 2점, 2위에게는 1점을 부여하여 점수를 매겨본 결과, 가장 추천하는 ETF를 선정해 보았습니다.

 

(2024년 02월 기준)

추종 ETF
수수료
괴리율
거래량
배당일
배당률
합계
순위
ACE 미국 S&P 500
1
2
1
0
1
5
1순위
KBSTAR 미국 S&P 500
2
0
0
1
2
5
1순위
SOL 미국 S&P 500
0
0
0
2
0
2
4순위
TIGER 미국 S&P 500
0
1
2
0
0
3
3순위

(표가 잘 안보이신다면 아래 표 사진 확인 바랍니다)

국내 상장 S&P 500 ETF 비교표

1위 KBSTAR 미국 S&P 500
2위 ACE 미국 S&P 500

 

두 상품의 점수 합계는 동일하지만, 배당률이 KB에서 1.50%로 높고,

수수료가 0.12%로 가장 낮기 때문에 KB를 1위로 선정하였습니다.

그러나, KB의 시가총액과 거래량이 ACE보다는 약간 낮다는 점을 고려하면,

단기 투자 전략에는 ACE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큰 차이는 없으니 개인의 선호에 따라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투자 기간에 따라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즉, 장기 투자자는 KB를, 단기 투자자는 ACE를 투자하는 것이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결론

ISA 계좌 및 연금저축펀드를 활용한 투자에 적합한 다양한 ETF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이 중 S&P 500 지수를 추적하는 ETF는 ISA 계좌를 가진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중요한 펀드입니다.


이 글을 참고하여 여러분만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보시길 바랍니다.

다음에는 나스닥 100 지수를 추적하는 ETF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 재테크 베테랑 '재테랑'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