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청년들의 안정적인 미래를 위한 청년도약계좌, 어느 은행이 가장 높은 우대금리를 제공하는지 비교해 봤습니다.
어떤 은행이 청년들에게 가장 이길할지, 이 글에서 함께 알아봅시다.
청년도약계좌 우대금리, 은행별 비교 분석, 최적의 선택은 어디일까요? 바로 지금 확인해 보세요!
청년도약계좌 및 일시납입관련 내용이 궁금하다면 클릭!
본론
1.청년도약계좌 금리 비교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금융기관은 총 11곳입니다.
그중에서 기본 금리가 4.5%인 은행은 농협, 신한, 우리, 하나, IBK, 국민 등 6곳입니다.
아래의 표를 먼저 확인하신 후, 이어지는 내용에서 가장 이상적인 선택지를 제시해 드리겠습니다.
은행
|
기본금리
주 1)
(3년 고정)
|
소득+
우대금리 주 2)
|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 주 3)
|
은행별 우대금리 주 4)
|
||
만기 일시상환 대출
|
한도 대출
|
대출한도
|
||||
NH농협은행
|
4.50%
|
0.50%
|
0.90%
|
0.90%
|
90%
|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50%p,
② 마케팅동의 0.20%p,
③ 카드 실적 0.20% p,
④ 가입 직전 1년간 농협은행 예적금(청약 포함) 미보유 또는 NH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고객 0.10% p)
|
신한은행
|
4.50%
|
0.50%
|
1.00%
|
1.00%
|
100%
|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30%p,
② 신한카드(신용/체크) 결제 0.30%p,
③ 첫 거래 우대 0.40%p)
|
우리은행
|
4.50%
|
0.50%
|
1.00%
|
1.00%
|
95%
|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 1.00%p,
② 예적금 미보유 : 0.50%p,
③ 카드결제(신용/체크) : 0.50%p)
* 만기해지 시점까지 적금 자동이체 및 마케팅 동의 유지 필수
|
하나은행
|
4.50%
|
0.50%
|
1.00%
|
1.00%
|
100%
|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 (가맹점대금) 이체 [36회차 이상] : 0.60%,
② 마케팅동의 : 0.10%,
③ 카드 결제실적 [월10만원이상, 36회차 이상] : 0.20%,
④ 목돈마련응원 : 0.10%)
|
IBK기업은행
|
4.50%
|
0.50%
|
0.60%
|
0.60%
|
100%
|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50%p,
② 마케팅동의 0.10%p,
③ 지로/공과금 0.20%p,
④ 카드이용 0.20%p,
⑤ 최초고객 0.30%p)
|
KB국민은행
|
4.50%
|
0.50%
|
1.25%
|
1.75%
|
95%
|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60%p,
② 자동이체 0.30%p,
③ 거래감사 0.10%p)
|
DGB대구은행
|
4.00%
|
0.50%
|
1.00%
|
-
|
95%
|
우대금리 최대 1.50%p
(① 마케팅동의 0.30%p,
② 주택청약 보유 0.50%p,
③ 대구은행 계좌를 통해 자동이체로 30회 이상 입금 0.70%p)
|
BNK부산은행 주5)
|
4.00%
|
0.50%
|
1.00%
|
1.50%
|
95%
|
우대금리 최대 연1.50%p
(① 급여이체 : 0.50%p,
② 카드실적 : 0.50%p,
③ 신규고객 : 0.50%p)
|
광주은행
|
3.80%
|
0.50%
|
1.20%
|
1.20%
|
95%
|
우대금리 최대 1.70%p
(① 급여이체 0.50%p,
② 카드사용 우대금리 0.50%p,
③ 첫 거래 우대금리 0.50%p, ④ 만기축하 우대금리 0.20%p)
|
전북은행
|
3.80%
|
0.50%
|
1.20%
|
1.70%
|
90%
|
우대금리 최대 1.70%p
(① 급여이체 0.70%p,
② 마케팅 동의 0.20%p,
③ 적금 자동이체 0.30%p,
④ 카드실적 0.50%p)
|
BNK경남은행 주5)
|
4.00%
|
0.50%
|
1.20%
|
1.50%
|
100%
|
우대금리 최대 1.50%p
(① 급여이체 0.70%p,
② 주택청약 보유 0.40%p,
③ 최초신규고객 0.40%p)
|
주 1) 기본금리는 3년간 고정되며(이후 변동금리 적용), 가입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주 2)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을 주기로 심사한 개인소득금액의 소득요건* 충족 횟수에 따라 우대금리 적용
*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 원 이하, 연말정산한 사업소득 1,600만원 이하인 경우
주 3) 비대면대출 기준. 본 적금을 담보로 대출 이용 시 가산되는 금리로, 대출금리는 기본금리+ 대출시점에 확정된 우대금리 +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로 결정. 대출가능한도는 예금잔액 기준임. 대출기간은 적금만기일 이내이며, 중도상환 수수료는 없음
주 4) 우대금리 항목은 은행마다 상이하며, 적용 가능 여부는 은행별 홈페이지, 어플 등을 통해 추후 확인 가능
주 5) 한도대출의 경우 대면 취급만 가능
표를 꼼꼼히 살펴보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은행이 다양하고 정보가 복잡해서 혼란스러우시죠? 간략하게 정리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2. 우대 이율 조건을 충족하기 편한 은행 순위
※ 우리은행 (1순위)
우대금리 최대 1.00% p(① 급여이체 : 1.00% p, ② 예적금 미보유 : 0.50% p, ③ 카드결제(신용/체크) : 0.50% p)
우리은행이 급여 이체만으로도 1%의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선택입니다.
1) 만기 후 금리
만기일 당시 영업점 및 홈페이지 고시한 만기 후 이율 적용
1. 1개월 이내 : 만기시점 약정이율* X 50%
2. 1개월 초과 ~ 6개월 이내 : 만기시점 약정이율* X 30%
3. 6개월 초과 : 만기시점 약정이율* X 20%
* 약정이율 : 만기시점 일반정기적금 기본금리
2) 우대조건
① [급여이체]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로 급여이체 (월 50만 원 이상, 가입기간의 1/2 이상) : 1.00% p
② [예적금 미보유] 직전 1년간 우리은행 정기예금 및 적금 미보유 : 0.50% p
③ [카드결제]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로 우리 카드(신용/체크) 결제실적 보유(월 10만 원 이상, 가입기간의 1/2 이상) : 0.50% p
* 만기해지 시점까지 우리은행 상품서비스 안내동의(SMS 및 휴대폰 전화) 및 적금 자동이체 유지 필수
※ 국민은행 (2순위)
우대금리 최대 1.00% p (① 급여이체 0.60% p, ② 자동이체 0.30% p, ③ 거래감사 0.10% p)
급여 이체만으로도 0.6%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KB 청년희망적금을 만기 해지하는 경우, 추가로 0.1%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1) 만기 후 금리
-만기 후 1개월 이내: 기본이율 x 50%
-만기 후 1개월 초과 ~ 3개월 이내 : 기본이율 x 30%
-만기 후 3개월 초과: 0.1% p
2) 우대조건
① 이 적금의 신규일이 포함된 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급여 입금 월수가 36회 이상인 경우
② 이 적금의 신규일이 포함된 달부터 만기 전전월 말까지 본인 명의 KB국민은행 입출금통장에서 아래 1) 또는 2)의 자동이체 출금이 발생한 경우
1) 월 2건 이상의 공과금 자동이체 월수 36회 이상
2) 청년도약 LTE 요금제의 자동이체 출금 월수 36회 이상
③ 계약기간 중 주택청약종합저축 신규 가입 고객 또는 가입일 기준 KB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고객
※ IBK기업은행 (3순위)
우대금리 최대 1.00% p(① 급여이체 0.50% p, ② 마케팅동의 0.10% p, ③ 지로/공과금 0.20% p, ④ 카드이용 0.20%p, ⑤ 최초고객 0.30% p)
기업은행의 경우, 급여 이체를 통해 0.5%, 마케팅 동의를 통해 0.1%를 합쳐 총 0.6%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마케팅 동의를 선호하지 않아, 0.5%로 가정하에 3순위로 선정하였습니다.
1) 만기 후 금리
만기일 당시 영업점 및 인터넷 홈페이지에 고시한 정기적금의 만기 후 금리를 따름
-만기 후 1개월 이내 : 만기일 당시 계약 기간별 고시금리 × 50%
-만기 후 1개월 초과 6개월 이내 : 만기일 당시 계약 기간별 고시금리 × 30%
-만기 후 6개월 초과 : 만기일 당시 계약 기간별 고시금리 × 20%
2) 우대조건
① 급여이체 : 당행 급여이체 실적(월 50 만원 이상) 36개월 이상인 경우
② 마케팅 동의 : 가입시점 상품 서비스 마케팅 문자수신 동의 상태인 경우
-기존 미동의 고객이 계좌 신규 당일에 동의한 경우 포함
③ 지로/공과금 : 지로/공과금 자동이체 실적(월 2건 이상) 36개월 이상인 경우
④ 카드 이용 : 당행 신용(체크) 카드 이용 실적 연평균 200만 원 이상 및 만기시점까지 보유한 경우
⑤ 최초 고객 : 가입시점 최초 신규 고객에 해당하는 경우(아래 2가지 요건 중 1가지 이상 충족 시)
-실명 등록일로부터 3개월 이내
-가입일 직전 월 기준 6개월간 총 수신된 평균 잔고가 ‘0’ 원
2. 우대금리 세부항목 비교
금리 비교가 복잡하게 느껴지시는 분들은 아래의 표를 참고해 주세요.
은행명
|
우대금리 세부항목
|
|||||||
① 급여이체
|
② 마케팅
|
③ 자동이체
|
④ 카드 실적
|
⑤ 최초 거래
|
⑥ 주택청약
|
⑦ 기타
|
최대
|
|
농협
|
0.5%
50만 원↑
(가입 월부 터 만기 전 전월까지)
이체 실적별 금리
12개월↑:0.1
36개월↑:0.3
50개월↑:0.5
|
0.2%
(가입 시점)
마케팅 전체 동의
|
-
|
0.2%
NH 채 움 카드(신용, 체크)
사용 월평균 20만 원↑
(가입 월부 터 만기 전 전월까지)
|
0.1%
직전 1년간 농협은행
예적금(청약) 미보유자
(⑤, ⑦중복 불가)
|
-
|
0.1%
NH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⑤, ⑦중복 불가)
|
1.0%
|
신한
|
0.3%
50만 원↑&30개월↑
(가입 일부터 만기 전 전월까지)
|
-
|
-
|
0.3%
신한카드(신용, 체크)
1원↑&30개월↑
(가입 일부터 만기 전 전월까지)
|
0.4%
직전 1년간 신한은행
예적금(청약) 미보유자
|
-
|
-
|
1.0%
|
국민
|
0.6%
50만 원↑&36개월↑
(가입 월부 터 만기 전 전월까지)
|
-
|
0.3%
월 2건↑(1원↑)
&36개월↑
또는 리브엠 통신요금 36개월↑
|
-
|
-
|
0.1%
계약기간 중 주택청약
신규 가입
(⑥, ⑦중복 불가)
|
0.1%
KB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⑥, ⑦중복 불가)
|
1.0%
|
우리
|
1.0%
50만 원↑&30개월↑
(가입 월부 터 만기 전 전월까지)
|
가입 기간 내
유지 필수
|
가입 기간 내
청년 도약 계좌
자동이체 필수
|
0.5%
우리카드(신용, 체크)
10만 원↑&30개월↑
(가입 월부 터 만기 전 전월까지)
|
0.5%
직전 1년간 우리은행
예적금 미보유자
|
-
|
①, ④, ⑤ 합산 최대 1.0%
|
1.0%
|
하나
|
0.6%
50만 원↑&36개월↑
(가입 월부 터 만기 전 전월까지)
|
0.1%
(가입 시점)
마케팅 전체 동의
|
-
|
0.2%
하나카드(신용, 체크)
10만 원↑&36개월↑
(가입 월부 터 만기 전 전월까지)
|
0.1%
직전 1년간 하나은행
예적금 미보유자[청년 지원정책 상품(청년희망적금, 청년 내일 저축계좌)
보유 무관]
|
-
|
-
|
1.0%
|
기업
|
0.5%
50만 원↑&36개월↑
(가입 기간 내)
|
0.1%
(가입 시점)
문자 수신 동의
|
0.2%
월 2건↑(1원↑)
&36개월↑
|
0.2%
기업카드(신용, 체크)
연평균 200만 원
(월평균 16.7만 원)
(가입 기간 내)
|
0.3%
2가지 중 하나 충족 시
1. 실명 등록일로부터 3개월
이내 또는
2. 가입일 직전 월 기준 6개월간
총수 신평 잔 0원 고객
|
-
|
①, ②, ③, ④, ⑤ 합산 최대 1.0%
|
1.0%
|
대구
|
-
|
0.3%
(가입 시점)
마케팅 전체 동의
|
0.7%
(만기 시 확인) 청년 도약 계좌
자동이체 30개월↑
|
-
|
-
|
0.5%
(가입 시점)
대구은행
주택청약 보유
|
-
|
1.5%
|
부산
|
0.5%
50만 원↑&30개월↑
(가입 월부 터 만기 전 전월까지)
|
-
|
-
|
0.5%
부산은행
BC카드(신용, 체크) 실적
500만 원↑
(월평균 8.33만 원)
(가입 기간 내)
|
0.5%
직전 3년 부산은행 예적금
미보유자
|
-
|
-
|
1.5%
|
광주
|
0.5%
50만 원↑&30개월↑
(가입 일부터 만기 전 전월까지)
|
-
|
-
|
0.5%
광주은행 카드(신용, 체크)
500만 원↑
(월평균 8.33만 원)
(가입 일부터 만기 전월말까지)
|
0.5%
직전 1년간 광주은행 예적금
미보유자
|
-
|
0.2%
해지원금 3천만 원
이상 만기해지
|
1.7%
|
전북
|
0.7%
50만 원↑&30개월↑
(가입 월부 터 만기 전 전월까지)
|
0.2%
(가입 시점)
마케팅 전체 동의
|
0.3%
월 1건↑(1원↑)
&30개월↑
|
0.5%
전북은행 카드(신용, 체크)
1원↑&&30개월↑
(가입 일부터 만기 전전 월말까지)
|
-
|
-
|
-
|
1.7%
|
경남
|
0.7%
50만 원↑&30개월↑
(가입 월부 터 만기일까지)
|
-
|
-
|
-
|
0.4%
직전 1년간 경남은행 예적금(청약)
미보유자
|
0.4%
(가입 시점)
경남은행
주택청약 보유
|
-
|
1.5%
|
3. 소득요건에 따른 우대금리 비교
소득요건 충족 횟수
|
5회
|
4회
|
3회
|
2회
|
1회
|
0회
|
소득+우대금리
|
소득+우대금리
전체 지급%
|
소득+우대금리
X 80% 지급
|
소득+우대금리
X 60% 지급
|
소득+우대금리
X 40% 지급
|
소득+우대금리
X 20% 지급
|
미지급
|
신청 시점과 가입 후 1년마다 심사하는 개인 소득 금액에 따라 우대 금리가 적용됩니다.
이를 위한 소득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총급여가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이 1,600만 원 이하인 경우
- 연말정산한 사업소득이 1,600만 원 이하인 경우
이런 요건을 만족해야만 우대 금리를 받을 수 있으니, 신청하기 전에 자신의 소득 상태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각 금융기관의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해당 금융기관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결론
각 금융기관별로 금리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물론 주로 거래하는 은행에서 가입하는 것이 가장 편리한 선택일 수 있지만, 저와 같은 재테크 전문가라면
우대 금리까지 세세하게 비교하여 가입하실 것이라 생각되어 이렇게 글을 써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더 풍부한 재테크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오늘도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상 재테크 베테랑 '재테랑'이었습니다.

'지원 사업 > 정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감독원 민원 취하 방법ㅣ금감원 담당자 및 전화번호 확인법 (154) | 2024.02.03 |
---|---|
금감원 민원 처리 진행 사항 조회하는 법ㅣ금융감독원 e-금융민원센터 사이트 이용 (171) | 2024.02.02 |
기후동행카드 경기패스, K패스, I패스와의 차이점, 이용가능노선 및 환불 방법 (121) | 2024.01.26 |
금융감독원 민원신청 방법ㅣ불합리하게 지급되지 않은 보험금과 카드 리워드를 민원을 통해 얻어내자 (0) | 2024.01.21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2유형 신청 가이드ㅣ월 50만원 구직촉진수당 받는 방법 알아보기 (2) |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