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도시 생활 속에서 주거의 안정은 청년들에게 가장 큰 고민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역세권에서의 거주는 수많은 청년들의 소망일 것입니다.
'청년 역세권 안심 주택'은 청년 및 신혼부부들에게 시장 가격 대비 저렴한 주거 공간을 제공하여, 주거 문제를 해결하려는 중요한 사업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청년 역세권 안심 주택을 자세히 알아보고, 추가적으로 신청 절차와 자격 조건도 살펴보겠습니다.
1. 청년 안심주택이란?
청년 안심주택은 주거 안정을 목표로 하는 무주택 청년 및 신혼부부들을 위해 민간과 공공 부문이 협력하여 대중교통이 잘 발달된 역세권에 제공하는 임대 주택입니다.
2. 청년 안심주택의 형태
청년 안심주택은 한 단지 내에 공공임대와 공공지원 민간임대 세대가 같이 있는 오피스텔형 주택입니다.
민간 임대는 다시 특별공급과 일반공급으로 나눠 임대해주는 형태입니다.
3. 청년 안심주택 임대료는?
1) 공공임대
- 주변 시세의 30~70% 수준의 임대료
2) 민간임대
- 특별공급: 주변 시세의 75% 수준의 임대료
- 일반공급: 주변 시세의 85% 수준의 임대료
4. 청년형 신청 자격
공고일 기준,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 무주택자(본인), 미혼인 청년으로서 신청순위 별 소득 및 총 자산 요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1) 순위별 자격 요건
1순위
- 생계·의료·주거급여
※ 수급자 자격 인정 범위 : 신청자 본인, 혹은 신청자와 동일한 주민등록등본 표에 등재된 신청자의 부모
- 한 부모 가족
※ 한 부모 가족 인정 범위 : 신청자 본인이 한 부모가족 증명서 발급이 가능한 경우에 한함
- 차상위계층
※ 차상위계층 자격 인정 범위 : 신청자 본인, 혹은 신청자와 동일한 주민등록등본 표에 등재된 신청자의 부모
2순위
- 본인과 부모의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인 청년이 대상
- 본인과 부모의 자산이 국민임대주택의 자산기준을 충족하는 청년이 대상
3순위
- 1, 2순위에 해당하지 않는 청년
- 본인의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인 청년
- 소득과 자산 금액은 아래에서 자세히 보겠습니다.
2) 소득 및 자산기준
실제 소득 기준은 3번 도시 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확인 바랍니다.
① 소득
1순위
: 순위 자격을 입증하는 경우 별도의 소득 심사 진행하지 않습니다.
2순위
: 본인과 부모의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 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여야 함
3순위
: 본인의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여야 함
② 자산
1순위
: 순위 자격을 입증하는 경우 별도의 자산 심사 진행하지 않습니다.
2순위
: 본인과 부모의 자산이 아래 국민임대주택의 자산기준*을 충족해야 함
*국민임대주택의 자산기준
- 총자산 기준 : 3억 6,100만 원 이하
- 자동차 보유기준 : 3,683만 원 이하
3순위
: 해당 세대의 자산이 아래 행복주택(청년)의 자산기준*을 충족해야 함
*행복주택 자산기준
- 자동차 보유기준 개별 자동차 가액 3,708만 원 이하
- 총자산 보유기준 34,500만 원 이하 (부동산, 자동차, 금융자산, 기타 자산가액을 합산한 금액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
6. 신혼부부형 신청 자격
신혼부부 유형은 1유형 2 유형으로 신청 자격이 나눠집니다.
1) 신혼부부 1 유형
- 공고일 현재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인 신혼부부
- 무주택 세대 구성원인 신혼부부
- 해당 세대의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인 신혼부부
(배우자가 소득이 있는 경우 90%)
- 소득·자산이 기준에 부합하는 신혼부부
신혼부부
|
공고일 현재 혼인 7년 이내인 사람
|
예비 신혼부부
|
공고일 현재 혼인 예정으로서 입주일 전일까지 혼인신고를 하는 사람
|
한 부모 가족
|
만 6세 이하 자녀를 둔 모자가족 또는 부자가족
|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혼인 가구
|
만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혼인 가구
|
2) 신혼부부 2 유형
-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인 신혼부부
- 무주택 세대 구성원인 신혼부부
- 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 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4순위의 경우 120%)인 신혼부부
- 해당 세대의 소득·자산이 기준에 부합하는 신혼부부
신혼부부
|
공고일 현재 혼인 7년 이내인 사람
|
예비 신혼부부
|
공고일 현재 혼인 예정으로서 입주일 전일까지 혼인신고를 하는 사람
|
한 부모 가족
|
만 6세 이하 자녀를 둔 모자가족 또는 부자가족
|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혼인 가구
|
만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혼인 가구
|
혼인 가구(4순위)
|
기타 혼인 가구(공고일 기준 혼인신고가 완료된 사람)
|
3) 순위 별 자격요건
순위
|
상세 요건
|
1순위
|
임신 중이거나 출산, 입양으로 자녀가 있는 (예비) 신혼부부 및 만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한 부모 가족
|
2순위
|
자녀가 없는 (예비) 신혼부부
|
3순위
|
1순위, 제2순위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사람 중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혼인 가구
|
4순위
|
그 밖의 혼인 가구
|
4) 소득 및 자산기준
실제 소득 기준은 7번 항목 참고 바랍니다.
구분
|
상세 요건
|
|
신혼 Ⅰ
|
소득
|
도시 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70% 이하(배우자 소득 있는 경우 90%)
2인 가구 기준, 400만 원 이하
|
자산
|
총자산가 핵 국민임대주택 자산기준
- 총자산 기준: 3억 6,100만 원 이하
- 자동차 보유기준: 3,683만 원 이하
|
|
신혼 Ⅱ
|
소득
|
1~3순위 : 도시 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100% 이하(맞벌이 120% 이하)
4순위 : 도시 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120% 이하(맞벌이 140% 이하)
|
자산
|
1~3순위 : 총자산가액 행복주택(신혼부부) 자산기준
4순위 : 총자산가액 신혼희망타운(공공 분양) 자산기준
|
7. 도시 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소득
(2023 기준)
|
1인
|
2인
|
3인
|
4인
|
50%
|
1,676,942
|
2,502,957
|
3,359,099
|
3,811,028
|
60%
|
2,012,330
|
3,003,548
|
4,030,919
|
4,573,234
|
70%
|
2,347,719
|
3,504,140
|
4,702,739
|
5,335,439
|
80%
|
2,683,107
|
4,004,731
|
5,374,558
|
6,097,645
|
90%
|
3,018,496
|
4,505,323
|
6,046,378
|
6,859,850
|
100%
|
3,353,884
|
5,005,914
|
6,718,198
|
7,622,056
|
110%
|
3,689,272
|
5,506,505
|
7,390,018
|
8,384,262
|
120%
|
4,024,661
|
6,007,097
|
8,061,838
|
9,146,467
|
130%
|
4,360,049
|
6,507,688
|
8,733,657
|
9,908,673
|
140%
|
4,695,438
|
7,008,280
|
9,405,477
|
10,670,878
|
150%
|
5,030,826
|
7,508,871
|
10,077,297
|
11,433,084
|
160%
|
5,366,214
|
8,009,462
|
10,749,117
|
12,195,290
|
170%
|
5,701,603
|
8,510,054
|
11,420,937
|
12,957,495
|
180%
|
6,036,991
|
9,010,645
|
12,092,756
|
13,719,701
|
190%
|
6,372,380
|
9,511,237
|
12,764,576
|
14,481,906
|
200%
|
6,707,768
|
10,011,828
|
13,436,396
|
15,244,122
|
8. 청년 안심 주택 신청방법
신청 자격을 만족한다면, 공공임대는 SH홈페이지, 공공지원민간임대는 사업자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민간임대의 경우 분양 공고문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공공임대 신청 방법은 SH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한데, 조금 복잡하니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SH 인터넷 청약시스템 웹페이지 접속
sh서울주택도시공사
천만시민과 함께 주거안정과 주거복지에 기여하는 서울주택도시공사
www.i-sh.co.kr
2) SH 인터넷 청약시스템 메뉴 아이콘 클릭 후,
'주택임대' - '청년안심주택' - '인터넷 청약' 순으로 클릭
PC 화면은 아래와 같이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3. 공고 선택 후 청약 진행
공고가 있다면 빨간 네모 박스 영역에서 선택 후, 신청 가능합니다.
9. 서류 합격 이후 과정은?
1) 서류 준비
- 제출서류: 주민등록표 등본, 주민등록표 초본, 가족관계증명서, 청년주택 심사서류제출 신청서, 개인정보수집동의서,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등
2) 서류 제출
- 등기우편또는 모바일 FAX로 서류를 제출합니다.
3) 당첨자 발표
- 서류 심사 후, 당첨자와 추첨된 동호를 발표합니다.
4) 계약금 입금
- 계약일 전까지 계약금의 20%를 입금해야 합니다.
5) 사전 점검
- 입주 전, 주택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6) 계약 체결
- SH 공사에 방문하여 계약을 체결합니다.
10. 임대보증금 지원 제도 및 2024년 공급 계획
2024년 청년 역세권 안심주택 공급 계획 및 임대 보증금 지원 제도
서론 '청년 안심주택 임대보증금 지원 제도'는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위한 중요한 정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특히 경제적 여유가 부족한 청년과 신혼부부가 주
terang.tistory.com
결론
청년 안심주택은 청년층에게 매우 유익한 주거 정책 중 하나로, 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주거 생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정부 지원 사업입니다.
신청 자격, 필요 서류, 그리고 신청 절차를 잘 확인하여 준비한다면, 청년층은 주거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청년 및 신혼부부라면, 꼭 관심 갖고 자격이 된다면 참여 해보시길 바랍니다.
이상 재테크 전문가 '재테랑'이었습니다.

'부동산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감도로 보는 중랑구 면목동 모아타운 통합 심의 통과 소식 (4) | 2024.04.08 |
---|---|
여의도 1호 재건축 디에이치 여의도퍼스트(한양아파트) 조합원 혜택 및 시공사 (18) | 2024.04.01 |
영등포 뉴타운 1-12구역 소식ㅣ1182세대의 대규모 단지 재개발 (21) | 2024.03.21 |
주거 지원 정책 주요 변화?ㅣ무주택 3억 원으로 간주 기준 상향, 든든전세주택 및 뉴빌리지 정보 (17) | 2024.03.19 |
서울시 노원구 중계본동 104마을 관리처분인가 재개발 소식 (23) | 2024.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