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84

분상제 아파트 실거주 의무 완화 소식ㅣ올림픽파크 포레온 최초 분양 후 갭투자 여부 서론 최근 국회에서 통과된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의 실거주 의무 기간 유예에 대한 법안은 많은 주택 수분양자들에게 큰 호흥을 이끌었습니다. 이번 법안은 서울 강동 둔촌주공과 강동헤리티지자이 등 약 5만 가구에 적용되며,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변화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실거주 의무제? 실거주 의무제는 분양가 상한제에 따라 분양된 아파트에 대해, 최초로 입주가 가능해진 날부터 2년부터 5년까지의 기간 동안 본인이 직접 거주해야 하는 규정입니다. 실거주 의무에 따라 갭투자를 통해 집을 구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실제로 주택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2021년에 시행되었습니다. 이는 주택 시장 안정화를 위한 핵심적인 정책으로, 실제 주택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주거권을 보장하고, 부동산 시장의.. 2024. 2. 29.
광명 공공재개발 새소식ㅣ뉴타운 7, 3구역 LH와 MOU 체결 및 토지거래 허가 완화 서론 광명 부동산에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 흥미로운 정보를 공유하려 합니다. 광명시 7 구역, 3 구역에서의 토지 거래가 승인되었으며, 공공 재개발 통합 3 구역에서는 LH와 MOU를 체결했다는 소식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런 두 가지 주요 소식을 상세히 살펴보고, 이를 통한 투자 전략이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 광명뉴타운 공공재개발 3구역 사업요건 및 절차 👇 광명뉴타운 공공재개발 3구역ㅣ장점 그리고 사업요건 및 절차서론 안녕하세요, 오늘은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는 재개발에 대해 얘기해보려 합니다. 공공 재개발, 들어보셨나요? 이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합작하여 이루어지는 도시재생의 새로운 방식입terang.tistory.com 본론1. 광명 3구역 LH MOU 체결 2024년 2월.. 2024. 2. 28.
서울시 소규모 주택 정비 재개발 사업 : 모아타운 5곳 선정 소식ㅣ상도동, 중화 2동, 면목 2동, 양재 2동 일대 서론 2월 16일, 서울시는 새로운 모아타운 대상지로 5곳을 지정했습니다. 따라서 동작구 상도동, 중랑구의 중화2동과 면목2동, 그리고 서초구 양재2동 2곳이 모아타운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이 지역들은 노후 다세대, 다가구가 밀집되어 있어 주차 문제와 기반시설의 부재로 인해 주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반지하 주택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한 지역입니다. 다만, 기존에 선정된 모아타운 대상지 중에서 갈등이 심화된 3곳(성북구 보문동 6가, 성북구 하월곡동, 강북구 수유동)은 재개발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본론 1. '2차 모아타운 대상지' 선정 결과표 서울시는 2024년 2월 16일에 '제2차 모아타운 대상지 선정위원회'를 개최한 바 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공모를 통.. 2024. 2. 24.
강남 3구 첫 공공재개발 거여새마을ㅣ거여마천뉴타운 최신 소식 및 세대별 분양가 정보 서론 송파구의 거여새마을이 공공 재개발을 통해 1,654세대의 대단위 공동주택 단지로 변모하게 될 전망입니다. 거여새마을은 원래 1종 일반주거지역이 전체의 67%를 차지하고 있어 사업의 진행이 어려웠으나, 지역 용도의 조정을 통해 용적률을 282%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2028년에는 최대 35층 규모의 아파트로 이루어진 1,654 가구가 새롭게 세워질 계획입니다. 공공 재개발 이점이 궁금하다면 ↓ 광명뉴타운 공공재개발 3구역ㅣ장점 그리고 사업요건 및 절차 서론 안녕하세요, 오늘은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는 재개발에 대해 얘기해보려 합니다. 공공 재개발, 들어보셨나요? 이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합작하여 이루어지는 도시재생의 새로운 방식입 terang.tistory.com 본론 1. 거여마천.. 2024. 2. 6.
국제업무지구로 본 용산의 미래ㅣ한남 재개발, 신분당선 연장으로 강남을 누르는 입지가 될 지역 서론 "세계 최대 규모의 '용산국제업무지구'로 떠오르는 수직 도시" 용산구에 위치한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최대 용적률 1,700%를 자랑하며, 약 100층 내외의 랜드마크로 구성될 예정입니다. 이 외에도 저층형 개방형 녹지와 벽면녹화 등의 요소가 포함되어 약 50만㎡에 달하는 녹지가 조성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사업부지 면적의 100%를 차지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조성될 용산국제업무지구는 뉴욕의 허드슨야드(Hudson Yards)보다 4.4배 큰 규모로, 세계에서 가장 큰 수직 도시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용산구가 글로벌 수준의 비즈니스 활동과 혁신적인 도시환경을 제공하는 중심지로 성장할 것을 의미합니다. 본론 1. 콤팩트시티(Compact City) 용산구는 '콤팩트시티(Compact.. 2024.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