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정보

서울 돈암동·신림동·입정동 재개발 사업 본격화: 2300가구 신규 주거단지 조성 및 녹지 확충

by 재테랑 2024. 11. 3.
728x90
반응형

'서울 돈암동·신림동·입정동 재개발 사업 본격화: 2300가구 신규 주거단지 조성 및 녹지 확충' 섬네일

서론


서울 돈암동, 신림동, 입정동 일대가 서울시의 재개발 통합심의를 통과하여 약 2,300가구 규모의 새로운 주거지로 탈바꿈할 예정입니다. 이번 재개발을 통해 현대적 주거환경과 공공시설이 조성되며, 도심 속 녹지 공간을 확충하는 등 거주 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입니다. 재개발의 진행 속도를 높이고 주거 공급과 도시 재생을 동시에 실현하려는 서울시의 의지가 돋보입니다. 특히 신림동과 입정동은 교통 및 상권과의 연계로 인해 향후 부동산 가치 상승이 기대되는 지역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돈암6 재개발, 신림2 재정비촉진구역, 수표구역 재개발 등 주요 재개발 사업의 세부 내용과 효과를 다루며, 서울시의 재개발 정책 및 전망을 분석하겠습니다.


본론

 

주요 재개발 사업 개요 및 특징
사업명 위치 규모 및 구조 특징
돈암제6 주택재개발사업 성북구 돈암동, 4호선 길음역 인근 지상 25층, 지하 7층, 12개 동, 900세대 (공공주택 165세대 포함) 보행 편의성을 위한 공공보행통로 조정, 공용주차장 및 소공원 조성
신림2 재정비촉진구역 관악구 신림동, 2호선 신림역 인근 최고 28층, 20개 동, 종교시설 포함, 공원 기부채납 자연친화적 단지, 도림천 제2지류 복원 및 관악산의 고저차 반영
수표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 중구 입정동, 청계천과 을지로3가 인근 지상 33층, 지하 7층, 업무·판매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구역 내 5,060㎡ 녹지 공간, 전시장 및 녹지 연계


1. 돈암제6 주택재개발사업 (성북구 돈암동)

돈암제 6  주택재개발사업 투시도 /출처: 서울시

돈암제6 주택재개발사업은 성북구 돈암동의 낙후된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주거·생활 편의시설을 새롭게 조성할 계획입니다. 지상 25층, 지하 7층의 건물 12개 동과 9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로, 공공보행통로와 소공원, 공용주차장 등 다양한 시설이 함께 마련됩니다. 이는 주민의 편의성을 높이고 지역 생활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입니다.


2. 신림2 재정비촉진구역 (관악구 신림동)

신림2 재정비촉진구역 예상 투시도 /출처: 서울시

신림2 재정비촉진구역은 관악산 일대의 고저차를 반영한 자연친화적 설계와 함께, 단지 내 도림천 제2지류 복원 사업을 추진하여 쾌적한 주거 공간을 제공합니다. 교통 편의성이 높은 신림동의 특성상 향후 지역 중심지로의 역할이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 착공이 예상되며, 단지 내 주거·상업·문화 공간이 조화를 이루는 복합 생활 거점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3. 수표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중구 입정동)

수표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투시도 /출처: 서울시

수표구역 재개발은 청계천과의 연계를 통한 도심 속 대규모 녹지 공간 확보를 목표로 합니다. 지상 33층 규모의 업무·문화시설을 포함하고 있으며, 5,060㎡ 규모의 녹지 공간이 마련되어 도심 속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여가 공간을 제공합니다. 공공보도 개선과 전시시설 조성으로 도심 활성화를 촉진할 것입니다.


결론
서울시 재개발 정책의 부동산 시장 영향

 

서울시의 재개발 통합심의 통과는 주거지 밀집 지역의 환경 개선, 녹지 확대, 공공시설 확충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특히 신규 주택 공급과 생활 인프라 개선이 부동산 가치를 높이며, 신림동과 입정동은 교통·상권 접근성 덕분에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개발을 통해 도심 주거 수요를 안정화하고, 도시 전반의 균형 있는 성장을 도모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도 신속한 심의 절차를 통한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어 서울시의 주택 시장 변동성을 제어하고, 지역별 균형 발전을 이끌어 나갈 전망입니다.

 

이상 재테크 전문 블로거 ‘재테랑’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